국토부, 2024년 항공사·공항 서비스평가 결과 발표… “정시성·편의성 개선, 안전성은 하락”

페이지 정보

작성자 브이오알 댓글 0건 조회 322회 작성일 25-05-30 08:47

본문

국토교통부(장관 박상우)는 2024년 항공교통서비스 평가 결과를 30일 발표하며, 국내 항공사와 공항의 서비스 전반은 개선된 반면, 안전성 부문은 전년 대비 하락했다고 밝혔다.

이번 평가는 2023년 10월부터 2024년 3월까지 국내 여객 실적 상위 98%에 해당하는 53개 항공사(국적 10개, 외항사 43개)와 국내 6개 공항(인천·김포·김해·제주·청주·대구공항)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항공사업법」에 따라 매년 진행되는 본 평가는 항공이용자의 권익 향상과 서비스 품질 제고를 목표로 한다.

정시성은 개선… 국제선은 혼잡 영향으로 다소 하락
국내선 항공사의 정시성은 전반적으로 향상됐다.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 에어로케이, 에어부산은 최고등급인 A++를 받았으며, 이스타항공과 에어서울 등도 등급이 상승했다.

반면 국제선 정시성은 공항·공역 혼잡 등으로 전반적으로 낮아져 평균 B등급을 기록했다. 에어부산(A+)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으며,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은 B+ 등급, 에어서울은 최하위인 D++ 등급에 머물렀다.

외국 항공사 중에서는 전일본공수(ANA), 카타르항공 등이 A++로 평가된 반면, 루프트한자(E++), 에어프랑스(D+), 비엣젯항공(C) 등은 낮은 등급을 기록했다.

이용자 보호 수준은 향상… 동남아 항공사는 여전히 미흡
이용자 보호 충실성 부문에서는 국내 항공사 모두 A~A++ 등급을 획득하며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외항사의 경우도 평균 등급이 C+에서 B+로 개선됐다. 다만, 말레이시아항공(D+), 에어아시아엑스(C), 비엣젯항공(C++) 등 일부 동남아·중국계 항공사는 피해구제 시스템이 미흡해 하위권에 머물렀다.


안전성 등급 하락… "정비 역량 강화 필요"
국적사의 안전성은 전년 A+에서 올해 B+로 하락했다. 제주항공은 지난해 12월 발생한 사고로 인해 F등급을 받았고, 이스타항공(B+), 에어프레미아(C), 티웨이항공(E+) 등도 정비 문제 및 과징금 등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이에 대해 국토부 박준상 항공산업과장은 “안전성 하락은 우려스러운 부분”이라며, “정비 역량 강화 및 안전 투자 확대를 중심으로 한 '항공안전 혁신 방안'(4.30 발표)을 적극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공항은 전반적 개선… 대구·김포공항 눈에 띄어
공항 부문에서는 신속성과 편의성 모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공항은 수속시설 확충 효과로 신속성 부문에서 A++로 상승했으며, 김포·김해공항은 교통약자 편의시설을 확충해 이용편의성 A등급을 획득했다. 인천공항은 두 부문에서 모두 A등급을 유지했다.

수하물 처리 정확성은 모든 공항이 품질 기준을 충족해 A++ 평가를 받았으며, 이용자 만족도 조사에서도 청주공항(‘다소만족’)을 제외한 모든 공항이 ‘만족’ 평가를 받았다.

향후 평가제도 고도화 예고
박 과장은 “정시성 및 공항의 신속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커지고 있다”며, “내년부터는 지연율 및 지연 시간까지 평가에 포함해 보다 정밀한 평가체계를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평가결과 전체보기(클릭)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