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항공사고에 칼 빼든 정부..."항공안전 체계 뿌리부터 뜯어고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브이오알 댓글 0건 조회 196회 작성일 25-02-04 09:14본문
국토교통부가 최근 잇따른 항공사고에 대응하기 위해 '항공안전 혁신 위원회'를 출범한다. 4일 서울에서 첫 기획회의가 열릴 예정이며, 항공·공항 분야 민간 전문가들이 참석한다.
이번 첫 기획회의에서는 위원회를 이끌어갈 위원장을 선출하고, 향후 위원회 운영 방향과 목표를 설정할 계획이다. 위원회는 항공안전 전문가 4명, 조종 2명, 정비·객실 2명, 소비자·법률 2명으로 구성된 '항공운항 안전 분과'와 항공교통 2명, 조류 2명, 건설·토목 4명, 항행·법률 2명이 포함된 '공항시설 개선 분과'로 나뉘어 운영된다.
국토부는 위원회를 통해 저비용 항공사(LCC)의 정비역량 제고와 높은 항공기 가동률 관리 방안을 집중 검토한다. 특히 공항 건설·운영 규정 간 불일치 해소 등 지난해 12월 29일 여객기 참사 수습 과정에서 주로 지적된 문제점들을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위원회는 또 항공사의 운항 인허가 시 안전성 검토 강화, 항공안전투자 공시제도 내실화, 공항 건설·운영규정 개정, 공항운영증명 및 운영검사 내실화 등 항공 안전체계 전반에 걸친 쇄신 방안을 논의한다. 국토부는 이 과정에서 민간 전문가들의 다양하고 창의적인 의견을 적극 수렴해 근본적인 개선안을 도출한다는 방침이다.
백원국 국토교통부 제2차관은 "각종 항공기 사고 발생에 따라 항공안전 관련 제도개선은 현재 정부가 최우선적으로 다루어야 할 과제"라며 "항공안전 체계를 처음부터 다시 세운다는 결심으로 뼈를 깎는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향후 10주간 항공·공항 각 분야의 현장점검을 실시하고 국내·외 사례를 면밀히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3월 말까지 항공 안전 전 분야에 걸친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4월 초 공청회를 통해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한 후 최종 항공안전 혁신 대책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번 첫 기획회의에서는 위원회를 이끌어갈 위원장을 선출하고, 향후 위원회 운영 방향과 목표를 설정할 계획이다. 위원회는 항공안전 전문가 4명, 조종 2명, 정비·객실 2명, 소비자·법률 2명으로 구성된 '항공운항 안전 분과'와 항공교통 2명, 조류 2명, 건설·토목 4명, 항행·법률 2명이 포함된 '공항시설 개선 분과'로 나뉘어 운영된다.
국토부는 위원회를 통해 저비용 항공사(LCC)의 정비역량 제고와 높은 항공기 가동률 관리 방안을 집중 검토한다. 특히 공항 건설·운영 규정 간 불일치 해소 등 지난해 12월 29일 여객기 참사 수습 과정에서 주로 지적된 문제점들을 중점적으로 다룰 예정이다.
위원회는 또 항공사의 운항 인허가 시 안전성 검토 강화, 항공안전투자 공시제도 내실화, 공항 건설·운영규정 개정, 공항운영증명 및 운영검사 내실화 등 항공 안전체계 전반에 걸친 쇄신 방안을 논의한다. 국토부는 이 과정에서 민간 전문가들의 다양하고 창의적인 의견을 적극 수렴해 근본적인 개선안을 도출한다는 방침이다.
백원국 국토교통부 제2차관은 "각종 항공기 사고 발생에 따라 항공안전 관련 제도개선은 현재 정부가 최우선적으로 다루어야 할 과제"라며 "항공안전 체계를 처음부터 다시 세운다는 결심으로 뼈를 깎는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향후 10주간 항공·공항 각 분야의 현장점검을 실시하고 국내·외 사례를 면밀히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3월 말까지 항공 안전 전 분야에 걸친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하고, 4월 초 공청회를 통해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한 후 최종 항공안전 혁신 대책을 확정할 계획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